철이의 뇌피셜 공대 취업조언, 그리고 일상얘기

[자소서 꾸미기_1] 대표적인 7대 취업스펙 항목 소개, 공대생 취업 스펙 순위 본문

뇌피셜 취업 이야기/1. 자소서 꾸미기(스펙쌓기)

[자소서 꾸미기_1] 대표적인 7대 취업스펙 항목 소개, 공대생 취업 스펙 순위

철이 cheollls 2023. 1. 27. 00:33


안녕하세요, 자소서 꾸미기의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양식이 정해져 있는 지원서, 자기소개서 칸을 어떻게 하면 잘 꾸밀 수 있을까요?
최근 들어 많은 기업에서 직무역량 중심의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꽤 유명합니다.

직무역량에 대한 이야기는 추후 다른 포스팅에 단독으로 다루도록 하고 이번 글에서는 고전적인 7가지의 대표적인 스펙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번 7가지는 자기소개서, 지원서에 쓸 수 있고 아무리 직무역량 중심의 채용이라 할지라도 정량적, 정성적으로 보이는 스펙은 결코 무시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7가지의 스펙을 간단히만 소개, 순위를 매긴 뒤 다음 포스팅부터 하나씩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중요도 순으로 나열한 7대 스펙입니다.

1. 학력


첫 번째 스펙은 학력입니다. 과거부터 매우 중요한 스펙이었으나 최근에는 많이 그 중요성이 약해졌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학력은 여전히 매우 중요한 스펙입니다. 지원자의 기본적인 성실성, 학습능력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취준생의 입장에서 학력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이 항목은 추후에도 크게 다루지 않을 예정입니다.
(참고로 삼성전자의 경우 학력을 우선시하지 않는, 즉 다양한 학력의 지원자가 합격하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2. 인턴 경험


2위는 인턴경험 입니다. 요즘은 "금턴"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인턴경험을 하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입니다.
특히 공대생, 이공계 인턴은 더욱 기회가 적죠. 희소성은 곧 경쟁력이 됩니다.
인턴 경험은 실제 사업부에서 업무를 수행해보기도 하고, 흔히 말하는 직무역량의 지표로도 볼 수 있습니다.

3. 수상경력


3위는 수상경력입니다. 수상경력은 곧 성공경험과 같습니다.
대기업 신입사원들의 성공경험은 자소서, 면접에서의 필살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수상경력은 큰 무기입니다.
수많은 지원자들 중 눈에 띄는 수상경력을 가진 지원자는 많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가지고 있다면 크게 강조해도 좋을 스펙입니다.

공동 4. 학점


4위는 학점입니다.
특정 학점 이상이어야 대기업에 합격하냐? ~학점 이하는 커트당하냐? 등의 질문이 많습니다.
그런 식의 질문은 많은 지원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어렴풋이 알 뿐이지 정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물론 SK그룹이 학점 기준이 높다 등의 어느 정도의 심증은 있지만 낮은 학점으로 합격한 사례도 분명히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학점은, 특정 학점 이상이라면 성실, 중간이라면 보통, 낮다면 불성실 (= 면접 때 공격)
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성실성을 대변하는 지표로 생각하고 최대한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공동 4. 대내외활동/ 외부교육


사실 학점과 순위를 나누기 힘들어 공동 4위에 대외활동/ 외부교육을 올렸습니다. 대내외활동에는 정말 많은 것이 포함됩니다.
학부연구생, 동아리, 봉사 등 직무적, 인성적인 많은 정성적인 내용을 포함합니다.
어떤 대내외 활동이냐에 따라 학점보다 더욱 가산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외부교육 역시, 어떤 교육이냐에 따라 학점보다 성실성을 더욱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가장 궁금해하실 항목이 대내외활동, 외부교육이라 생각하기에 추후 여러 개의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6. 어학점수


많은 대기업에서 영어 스피킹(오픽, 토익스피킹)의 기준을 세우고, 지원자격으로 요구합니다.
이공계 한정으로, 지원자격을 넘는 성적만 가지고 있다면 보통, 오픽 AL 등의 극상위권 성적을 가진다면 약간의 가산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잘은 모르지만 문과계열은 더 엄격한 어학점수 커트가 요구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 위. 자격증


자격증은 중요도가 가장 낮아서 마지막이 아닙니다.
본인이 어떤 직무를 지원하냐에 따라 자격증이 큰 가산점이 될 수도,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기술, 공정설계 등의 직무에서는 특정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에 반해 시설, utility 직무에서는 기사 자격증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직무 별 각각의 중요성이 다르기 때문에 순위를 매길 수 없어 마지막에 배치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대표적인 7대 스펙과 제가 생각하는 중요도 순서를 말씀드렸습니다.
사실, 7가지 스펙 모두 단독 포스팅으로 설명해야 할 만큼 중요하고, 방대한 내용이 숨어 있습니다.
우선 어떤 스펙이 있는지만 간단히 말씀드리고 추후 포스팅으로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자소서 꾸미기_2] 대기업의 직무역량 중심 채용이 뭔데?

안녕하세요, 자소서 꾸미기 2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무역량"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최근 들어 주요 대기업들이 직무역량 중심 채용을 한다고 알려

cheollls.tistory.com

Comments